독서통신

지리의 힘

청사서로 2021. 11. 14. 21:55
반응형

 

지리의 힘

팀 마샬 지음 / 김미선 옮김

사이 펴냄

2016.8월


세계는 왜 ‘지리’를 두고 분쟁하는가?
지리라는 렌즈를 통해 세계를 조망한 책 『지리의 힘』. 25년 이상 30개 이상의 분쟁 지역을 직접 현장에서 취재하며 국제 문제 전문 저널리스트로 활동해온 저자가 중국, 미국, 서유럽, 러시아, 한국과 일본,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중동, 인도와 파키스탄, 북극 등 전 세계를 10개의 지역으로 나눠 ‘지리의 힘’이 21세기 현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파헤친 책이다.

이 책은 특히 ‘한국’편에서 한국의 위치와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 때문에 한국이 강대국들의 경유지 역할을 할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고 ‘중국’은 왜 영유권 분쟁을 일으키면서까지 바다에 집착하는지, ‘미국’은 어째서 초대강국이 될 수밖에 없었는지, 왜 세계는 남극이 아닌 북극으로 향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해답을 담고 있다. 또한 최근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미국과 중국 간의 신패권주의 경쟁, 알카에다와는 달리 영토를 장악해가는 IS 등을 놓치지 않고 함께 다루고 있다.


 

✔ 이란은 어떤나라인가

  • 자그로스와 엘부르즈라는 양대 산맥이 있다.
  • 뛰어난 원자력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 주거 가능 지역이 한정된 탓에 인구 대다수는 산악지대에 살고 있다.
  • 아랍국가가 아니다

✔ 나토는

  •  제2차 세계대전 후 동유럽에 주둔하고 있던 소련군과 군사적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체결한 북대서양조약의 수행기구로 미국, 캐나다, 아이슬란드, 덴마크 등이 가입되어 있다

✔ 라틴아메리카는

  • 라틴 아메리카 대륙 대다수 국가들의 대도시는 주로 해안 지역에 있다.
  • 페루와 아르헨티나의 경우 전 인구의 30퍼센트 이상이 수도권에 모여 산다.
  • 라틴 아메리카라는 지역은 미국과 맞대고 있는 멕시코 국경에서부터 시작된다.
  • 라틴어에 기반을 두고 있다. 국가 대다수가 스페인어를 쓰고 있는 가운데 브라질은 포르투갈어, 프랑스령 기아나는 프랑스어를 쓴다

✔ 자영농지법은

  • 미국에서 1862년 제정
  • 연방 소유 토지 160에이커를 5년 동안 경작하는 이주민들에게 아주 적은 금액만 받고 불하하는 법을 말한다
  • 서부 개척은 촉진되고, 서부에 대한 북부의 영향이 강화되었다.

친러시아 성향의 나라에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벨로루시, 아르메니아를 들 수 있다.

  • 라트비아는 친서방 성향의 국가이다.

✔북극연안 5개국

  • 북극연안 5개국은 캐나다, 러시아, 미국, 노르웨이, 덴마크를 말한다

 

✔신장위구르자치구

  • 중국은 이 곳을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하고 있으며 절대 그들의 독립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 중국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중국의 성 중에서 가장 넓은 지역이다.
  • 실크로드의 주요지역으로, 동아시아 지역과 이슬람 세계를 연결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였다.
  • 이미 10세기경 부터 이슬람교가 전해졌고 오랜 시간 동안 이슬람권의 영향을 받았다.
  • 중국은 수백 년에 걸쳐 이 곳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점령과 전쟁을 반복했다

✔미국의 루이지애나

  • 미국은 1803년 프랑스로부터 루이지애나 영토를 구입하여 가장 훌륭한 내륙수로 수송권을 확보하였다

✔프랑스의 지리적특징

  • 북유럽평원 지역에 속한 나라들 가운데 지리적 이점을 가장 많이 누리고 있다.
  • 유럽에서 북쪽과 남쪽을 전부 아우르는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서유럽에 면한 지역에는 광대하고 비옥한 대지가 펼쳐져 있을 뿐 아니라 상당수의 강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 서쪽으로 쭉 흘러가다 대서양으로 이르는 강이 있는가 하면, 남쪽을 흐르는 론강은 지중해로 흘러 들어간다.

✔러시아 이반4세

  • 최초의 차르로 <방어로서의 공격> 개념을 실전에 도입한 인물이었다.
  • 일단 내부를 공고히 평정하고 외부로 확장을 시작하였다.
  • 극도의 무자비함과 뛰어난 선견지명이 혼재되어 러시아 절대 왕정의 창시자였다.
  • 시베리아를 병합하는 등 국력을 크게 확장하였다.

 

'독서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0) 2021.11.24
그리스인 조르바  (2) 2021.11.24
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  (0) 2021.11.16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1  (1) 2021.11.14
마시는 즐거움  (1) 2021.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