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무 지음
사회평론 펴냄
2016년 5월
쉽게 읽고 제대로 배우는 미술사의 모든 것!
길고 긴 역사를 지닌 미술을 공부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가장 트렌디한 현대미술 작품에도 인류 4만 년 역사가 녹아 있기에 미술사를 모르면 개별 작품을 이해하기도 쉽지 않다. 게다가 어렵게 쓰인 기존 미술사 책들은 읽으려 해도 채 열 페이지를 넘기지 못하고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미술 이야기』는 일대일 강의 형식의 구어체로 구성되어 마치 재미난 이야기를 듣는 듯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책장을 앞뒤로 넘겨가며 그림을 찾을 필요 없이 독자의 시선의 흐름에 맞추어 배치한 도판, 소장 가치가 있는 엄선한 작품 사진과 일러스트, 머릿속에 떠오르는 의문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적절한 질문이 읽는 즐거움을 더한다.
그렇다고 책의 수준이 낮은 것은 아니다. 책의 저자이자 미술사학계의 권위자인 양정무 교수는 한 권의 책 안에 방대한 정보와 다양한 관점을 모두 담아냈다. 꼭 알아야 하는 기초적인 미술 지식은 물론 학계를 선도하는 최신 이론을 소개하고, 유명한 미술 작품부터 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한국의 미술까지 최대한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와 이론을 담았다.
인기 대중 강연자이기도 한 저자의 강의를 따라가다 보면 이 모든 방대한 지식이 자연스레 이해된다. 독자들은 어느 순간 친절하고 박식한 가이드와 함께 미술의 세계를 여행하는 기분을 느끼게 될 것이다.
✔아시리아 유물에 대하여
- 문 옆의 석상에 새긴 전설상의 동물 라마수는 사자, 소, 사람의 모습을 합친 형상이다.
- 대부분의 라마수는 다리가 다섯 개 달려있는데,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느낌을 준다
- 현대에 라마수 조각들은 IS에 의해서 마구 파괴되고 있다
- 라마수 조각은 모술이라는 아시리아 지역에서 석재를 활용하여 만들었다
- 기원전 10세기 무렵 아시리아가 메소포타미아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한다.
- 북으로는 시리아, 남으로는 이집트까지 드넓은 영토를 차지했다.
- 아시리아 사람들은 이 거대 제국을 건설하는 데 채 200년도 걸리지 않았다.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 오스트리아의 빌렌도르프 지방에서 발견되어 이름을 ’빌렌도르프의 비너스’라고 지었다.
- 가설 중 임신한 여성이 자신의 몸을 내려다보며 만든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 조각상의 크기는 약10센티미터 남짓이다.
- 조각상에 비너스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은 이 모습이 구석기시대의 아름다움을 상징한다고 생각했다.
✔함무라비 법전
- 바빌로니아 제국의 법전이다.
- 신분에 따라 처벌이 다른 법전이다.
- 최근 함무라비 법전보다 앞선 수메르의 왕들이 법전을 가지고 도시를 통치했다는 증거가 많이 발견되었다
✔로제타석
- 그리스어, 이집트 상형문자, 이집트 대중문자 의 세가지 언어로 같은 내용의 글이 적혀있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유물들
- 지구라트는 고대 메사포타미아 도시들 중앙에 위치한 계단형 탑이다.
- 지구라트의 역할은 각 도시의 수호신을 위한 신전이며, 제의의 공간이다.
- 텔 아스마르 조각상은 양 손을 모은 자세이다
- 유물들 중 대형 그릇의 발견은 농업 생산량의 증대로 잉여 생산물이 생겨났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그리드 기법
- 모눈종이 같은 격자무늬를 영어로 '그리드'라고 부른다
- 그리드에 맞춰 그림을 그리는 게 이집트 미술의 두번째 원리이다.
- 헤시라의 초상을 비롯한 대부분의 이집트 미술은 그리드를 기초로 했다.
- 그림을 그릴때 우선 그리드를 친 다음 크기에 맞춰 사람을 그려나갔다.
- 그리드에 맞춰 신체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이집트 사람이 고수하려 했던 완벽함의 기준이었다.
✔울산 반구대 암각화
- 물고기와 고래를 포함한 바다생물이 77마리, 육지동물이 91마리, 사람이 11명 그려져있다
- 제작시기는 알 수 없으며, 지금은 많이 훼손되어 있다.
- 가장 큰 관심을 받는 대상은 고래이다.
✔스핑크스라는 이름은, 그리스인의 명칭이다.
✔고대 이집트 미술의 가치는 불변, 불멸, 영생이다.
✔이집트 아멘호텝 4세의 개혁
- 제사장의 권위를 견제하려는 개혁이었다.
- 다신교이던 이집트를 유일신 신앙으로 바꾸려고 하였다.
- 그의 뒤를 이어 어린 나이에 왕이 된 소년왕은 투탕카멘이다.
- 아멘호텝 4세의 개혁은 실패하였다.
'독서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0) | 2021.11.24 |
---|---|
그리스인 조르바 (0) | 2021.11.24 |
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 (0) | 2021.11.16 |
지리의 힘 (0) | 2021.11.14 |
마시는 즐거움 (0) | 2021.11.14 |